해당 글은 스파르타코딩클럽의 강의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https://spartacodingclub.kr/online/coding101
자세한 모든 내용을 알고싶다면 강의 수강을 권해드립니다.
컴퓨터와 인터넷
컴퓨터란? 기본적으로 기계를 모아둔 것.
우린 사일 매일 기계를 제어하는 것. > 이걸 해주는게 OS > OS에 명령 내리는게 "코딩"
프로그래밍 언어는 그 명령을 어떤 말로 하느냐인것.
그리고 그 언어로 미리 짜둬서 매번 똑같이 움직이는 게 프로그램
컴퓨터끼리 소통 = 인터넷
대화를 하기위해 규칙이 필요. 그 규칙중 하나가 http = 웹
자 프로그래밍 언어로 OS에게 명령을 내리는데.
그 명령이 잘듣고있다가 누가 http 요청하면 이 파일을 돌려라. 가 웹 서버입니다.
----------------
웹서비스 동작 방식
서버의 역할은 가운데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주는것 ( 사람이 많아지면 힘들다 ! )
즉, 서버란 "컴퓨터"라는 사람의 직업과 같은 것.
( DB, 웹서핑, ... 투잡 쓰리잡 가능 )
JSON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키 : 밸류.
요약
1. 서버 = 가운데서 역할
2. 브라우저 : 요청 + 그려주기
3. 웹은 다 받고 앱은 데이터만 받기(JSON)
껍데기에 데이터만 갈아주는 형식을 앱을 자주 쓴다.
웹은 다 받아서 다 다시그린다.
---------------
서버-클라이언트 통신
은행을 서버라고 한다면, 은행과 미리 약속해둔 곳(예금 창구)에 약속해둔 데이터(신분증)를 들고가야 잔고(응답)를 알려준다.
서버에 여러 창구들이있음 = 이러한 창구가 API
즉 이를 요약하면
요약
1. API란 창구이자 약속
2. 평소에 보는 URL처럼 생김
3. 앱,웹.. 서버는 상관없다.
-------------
개발 언어, 프레임워크
프로그래밍 언어란 인간과 가장 가까운 언어로 OS에 명령을 내리는 것.
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서버를 처음부터 다 만든다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
그래서 있는것.
미리 만들어놓은 블록 세트 = 프레임워크
C언어는 사실상 임베디드, 칩.
요약
1. 언어엔 특성만 있을 뿐. 상황을 고려해 선택을 할것.
2. 프레임워크로 만든다.
-------------
아키텍쳐/ DB
스타트업의 경우
좀 더 잘되면
더 커지면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를 잘 찾게 해주는 프로그램.
정리된 항목을 인덱스라고 한다. 인덱스를 타야 빠르게 가져온다.
SQL vs NOSQL
데이터분석 하기위해 SQL을 배우는것 = SQL DB에서 데이터를 빼내는 방법을 배운다.
요약
1. 아키텍쳐 매우 복잡
2. 클라우드 잘 써야함
3. DB는 두 종류. 인덱스가 중요함.
-------------
협업(git)
'공부 정리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 함수 동작 원리 - 가상 함수 테이블 (0) | 2025.01.06 |
---|---|
C++ 기반 OOP 학습 정리 (0) | 2024.12.13 |
C와 파이썬을 활용한 NVIDIA GPU - 기초 문제 (0) | 2024.07.16 |
개발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0) | 2024.05.27 |
코딩에는 어떤 분야가 있을까? (0) | 2023.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