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은 이전 글인 "코딩에는 어떤 분야가 있을까?"와 비슷한 글로,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 https://poca.tistory.com/entry/코딩에는-어떤-분야가-있을까 ]
비전공자들, 실무를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개발자들이 이해하기 좋게 정리한 영상이있어 공유하고자 해당 게시글을 작성합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qMu05OFnhrI ]
만약 포스팅에 관심이 간다면 원본 영상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약 우리 사람, 즉 인간을 분류한다면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요?
나이로 구분할 수 도 있고, 인종, 국적.. 여러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렇듯 개발자도 여러가지로 분류 할 수 있는데,
영상에서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해서 설명을 해줍니다.
1. 플랫폼
개발을 할 때 자신이 개발한 그 코드 즉 프로그램이 어디에서 실행되는가?를 기준점으로 개발자를 나눌 수 있습니다.
실행 되는 장소를 플랫폼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액셀이나 파워포인트처럼 PC 에 설치를 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사람
- C/ C++ / C# / 닷넷프레임워크 / MFC - 웹 개발자
보통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개발자로, 웹 즉 인터넷에서 개발하는 개발자입니다. 많이 들어보신 프론트엔드/ 백엔드가 이쪽에서 많이 쓰이는 말입니다.
프론트 엔드의 경우 우리가 직접 보는 디자인 파트라 생각하면 되고
백엔드 의 경우 프론트 뒤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로직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앱 개발자
모바일플랫폼에서 개발하는 개발자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것 = 안드로이드 [ 자바, 코틀린 ]
애플 = IOS [ Swift ]
크로스 플랫폼 :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이 다른 환경의 OS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기술인 Flutter도 있습니다. - 임베디드 개발자
기계를 플랫폼으로 하는 개발자입니다. 인력이 많이 적으며 한정된 자원인 만큼 매우 기계친화적인 언어로 제한된 환경에서 개발을 해야하기에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로봇, 드론 등 OS에 대한 지식 및 하드웨어 지식이 필수적입니다.
2. 기술 분
기술 분야는 내가 맡은 역할에 따라 나누어졌다 라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 보다는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개발자라 생각하면 좋습니다.
- 네트워크 개발
네트워크란 내 컴퓨터에 있는 정보, 데이터, 자료를 상대방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즉 통신하는 모든 기술을 개발하는 개발자 입니다.
그래서 보통은 컴퓨터에 저장된 영상을 어떻게 전송할 것인가가 핵심입니다. 가령 넷플릭스의 경우 영상을 전달하는것을 생각하면 좋습니다. - 인공지능 개발자
인공지능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1) 인공지능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 2) 인공지능의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 -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사이트를 주는 직업입니다.
주로 파이썬이나 통계 전문 언어 R을 사용하여 개발을 하고 개발 능력도 중요하지만 주로 데이터 시각화 능력이 중요합니다. - 블록체인 개발
블록체인을 가장 쉽게 이야기드리면 비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과 같은 기술을 개발하는 것인데요. 이 블록체인의 핵심은 해킹이 어렵고 누구나 신뢰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입니다.
블록체인도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1) 생태계 연구 [ 블록체인이라하는 네트워크나 이 기술 자체 생태계를 연구하는 분들 ]
2 ) 앱 개발 [ 생태계로 활용을 해서 앱을 개발 ] - 블록체인 특정 코인을 이용한 앱을 만드는 자들이 있습니다. - 보안 개발자
다른 사람의 정보나 돈을 갈취하는 해커가 있고 이를 막는 화이트 해커가 보안 개발자 - 게임 개발자
보통 Unity, UNREAL ENGINE 을 활용하여 제작합니다.
일종의 게임 개발 전문 소프트웨어 입니다.
3. 도메인
요즘 기술분야나 플랫폼에 대한 경계가 많이 흐릿해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내가 속해있는 도메인(사업분야)이 많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금융과 IT를 결합한 핀테크 개발자, 쿠팡이나 마켓컬리같은 플랫폼 개발자 라는 단어도 뜨고 있습니다.
- 커뮤니티
유투브, 인스타, 페이스 북 같이 사람들이 컨텐츠를 올리고 소통하는 커뮤니티 방식의 서비스.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고 그런 관점에서 개발할 수 있는 사람을 많이 찾는 편입니다.
- 커머스
커머스란 어떠한 물건을 사고 파는 곳 이라는 의미를 갖고있습니다.
물건을 잘 보여주고 그것을 구매하는 과정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결제와 관련된 기술, 정산과 관련된 기술이 조금 핵심인 분야입니다. - 핀 테크(금융)
토스와 같은 앱을 생각하면 좋습니다.
커머스에서도 결제가 되고 정산이 되고 탄탄한 서비스가 중요하지만, 핀테크 업계의 경우 극도로 단단할 정도로 튼튼한 서비스가 중요합니다. 단 한번의 오류가 사실상 서비스를 정지시킬 수 있는 만큼 치밀하고 실수이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이러한 특성때문에 신기술을 받아드리고 적용하기 보다는 이미 확실하게 안전하고 보장되어있는 과거로 부터 많이 알려진 서비스를 활용 많이합니다. 연봉이 조금 높은데 반면 배움은 부족할 수 있다는 인식이있습니다. - 인공지능
원래 보통 모빌리티 산업, 자동차의 자율주행 등 특정 도메인 안에 속해있는 영역이였으나, 요즘 하나의 특정 산업 분야로 나뉠정도로 뛰어난 발전을 보여주는 기술입니다.
요즘은 인공지능 기술 자체만으로도 사용자에게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분야로 떠올랐습니다.
'공부 정리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 함수 동작 원리 - 가상 함수 테이블 (0) | 2025.01.06 |
---|---|
C++ 기반 OOP 학습 정리 (0) | 2024.12.13 |
C와 파이썬을 활용한 NVIDIA GPU - 기초 문제 (0) | 2024.07.16 |
IT 용어 정리 (0) | 2024.04.20 |
코딩에는 어떤 분야가 있을까? (0) | 2023.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