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는 테이블의 동작 속도를 높여주는 자료 구조입니다.
인덱스를 설정할 때는, Cardinality 등의 기준을 사용해서 결정합니다.
Cardinality란, 특정 컬럼에 사용되는 값의 유니크한 값의 개수입니다.
Cardinality가 높을 수록 인덱스를 설정했을 때 효율적입니다.
Index를 설정할 경우 Select Query는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지만,
Create, Update, Delete Query의 경우 성능이 떨어지므로,
DB가 어떻게 사용되는 지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손병구님 ##
https://readbean-eyepack.tistory.com/9
'공부 정리 > 면접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운영체제 ] Paging과 Segmentation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 (0) | 2023.04.18 |
---|---|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 (0) | 2023.04.18 |
[프로그래밍 언어] Overriding과 Overloading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 (0) | 2023.04.05 |
[프로그래밍 언어] Singleton Pattern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 (0) | 2023.04.05 |
[운영체제] Critical Section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 (0) | 2023.04.05 |